class="layout-aside-right paging-number">
본문 바로가기
정보1

임산부 배려부터 지역 활성화까지: 고속철도의 새로운 도약

by 세종 2025. 1. 16.
반응형

임산부 배려부터 지역 활성화까지: 고속철도의 새로운 도약

 

 

요약

  1. 임산부 전용 좌석 도입
    내년 하반기부터 KTX에 임산부 전용 좌석이 도입될 예정이다.
  2. 노선 확대 및 KTX-이음 투입
    최근 개통된 서해선, 동해선 구간에 KTX-이음이 투입되며, 지방 활성화를 위해 '지역사랑 철도여행' 참여 지역이 확대된다.
  3. KTX 운영 현황
    • KTX는 2004년 2개 노선, 20개 역에서 출발해 올해 9개 노선, 77개 역으로 확대.
    • 2024년 고속철도 이용객은 1억1600만 명으로,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.
  4. 새 노선 개통 및 성과
    • 최근 개통된 준고속 노선: 서해선, 중부내륙선, 중앙선, 동해선.
    • KTX 청룡 도입으로 서울~부산 2시간 10분대 주파 가능.
  5. 일반철도 이용 현황
    • 새마을호와 무궁화호 수송인원이 5500만 명으로, 전년 대비 증가했으나 코로나19 이전(6800만 명)에는 미치지 못함.
    • 일반철도에서 고속철도로 이용이 전환된 영향.
  6. 노선별 승객 및 역 이용 현황
    • 최다 승객 노선: 경부선(8560만 명).
    • 최다 이용역: 서울역(4230만 명), 이어 동대구역, 부산역, 대전역.

주요 변화의 의미

  • 임산부와 같은 교통 약자를 위한 정책 개선으로 접근성과 편의성 증대.
  • 지방 활성화와 관광객 유치를 위한 철도 여행 프로그램 확장.
  • 고속철도 기술 발전과 노선 다변화로 교통 효율성이 한층 향상.
반응형